카테고리 없음

"지혜"가 뭘까, 무얼 [지혜]라 할까?

나 아닌 내 2023. 6. 1. 15:52

지혜(智慧)가 무엇이냐?

사람들이 사용하는 지혜라는 단어의 뜻이 무엇이냐는 물음이다.

환언하면, 내(自) 아닌 타인들이 사용하는 단어의 뜻을 물음이다.

 

그런데 그런 단어를 사용하는 사람이 부지기수로 많은데 그들의

두뇌 속을 들여다 볼 수도 없는데 무슨 수로 보편적, 일반적인 뜻을 알리오.

그래서 사람들끼리 약속된 것이 바로 사전에 등재된 뜻 이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옯겨 놓았다. 

1.사물의 이치나 상황을 제대로 깨닫고 그것에 현명하게 대처할 방도를 생각해 내는 정신의 능력

2.미혹을 끊고 부처의 진정한 깨달음을 얻는 힘.

"아하 지혜가 그거구나...이제 실용할 수 있겠다"고 스스로 여기거나, 그렇게 여겨지는가요?

무엇을 지혜라 할까?
남이사 뭐라고 알던지, 내 스스로 무엇을 지혜라고 이름지어서 알고 실용할까를
두뇌를 활용하여 의식화 하자는 시작이다.
사전에 어떻게 등재되어 있건, 남들이 어떤 뜻으로 사용하건 전혀 개의치 않겠다는 뜻 이기도 하다.
 
소승적으로는, [내 스스로의 말로 두뇌를 써서] 이 사람(자기)의 삶에 필요하고 유익한 의식을
다룰(만들기, 고치기, 바꾸기, 버리기) 수 있는 [내] 본원의  능력]에다 지혜라는 이름을 연결하여
하나의 "지혜의식"을 만들어 놓고, 그 의식을 약칭하여 "지혜"라고 할 수 있겠다.
 
대승적으로는, [내 스스로의 말로 두뇌를 써서 모든 인류는 물론이고 천지만물에게 필요하고
유익한 의식을 다룰 [내] 본원의 능력]을 "지혜의식"으로 형성해 놓고, 그 것을 "지혜"라고
약칭할 수도 있겠고.
 
무엇을 지혜라고 알고 말 하느냐는, 사람마다 그 자신(그 개인의 정신)이 선택하기 나름이다.
1), "지혜? 그런 것 몰라도 그만이다" 할 수도 있다.
2), "지혜? 그래 사전에 이렇게 등재되어 있구먼...." 할 수도 있다.
3), "지혜가 뭔데요?" 남 에게 물을 수도 있다.
4), "지혜? 지혜 지(智)와 지혜 혜(慧), 두 글자의 합성어이지.." 할 수도 있다.
 
거의 모든 사람들이 이상 내 가지중 그 어느 하나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그런 식으로 지혜를 알고 실제로 발휘하여 쓸 수가 있을까?
막상 지혜를 발휘하려고 시도하려 하지만 무얼, 어떻게 해야 할지 알지도 못 하는데?  
 
만약에 위에서 필자가 제시한, 필자 나름의 지혜, 그 단어의 뜻을 이해하고 인용(認容)한다면,
지혜를 실제로 발휘하기가 너무나 쉽고 효율적일 수 있다.
단지 [내] 스스로의 깨달음(自覺)과 그 지혜의 활용에 부한인 자유와 책임이 동반되어 있음을
알고 성실히 행하느냐 여하가 문제될 뿐 이다.
 
1. 내 !, 그 다음에 일체 대상(對相)과의 연결을 끊는다.(유아독존 상태의 유지)
2. 최고의 존엄을 목적적 주체로 삼는다.,(소승적으론 자기, 대승적으론 천지만물)  
3. 그 주체(위의 2)가 안전, 건강, 순탄, 조화롭게 살게 함을 목적으로 삼는다.
4. 그 목적을 실현하려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효율적일까를 두뇌외의 문답으로 설계한다.
5. 현실의 발생 인연을 파악하고, 변화 흐름을 예측하여 대비한다.
 
이하에서는 필자가 제시한 [지헤] 개념이 왜 실효적인가를 부연 설명하고자 한다.
 
1. [내] 능력이니 남에게 배우거나, 얻거나, 뺏기거나, 방해받지 아니한다.
   만약에 지혜를 남에게 배우거나 받거나 뺏기거나 한다고 알면 제대로 환용하겠는가?
 
2. 내 [본원(本源)의 무진장인 능력]이니 드러내어 쓰는데 그 어떤 제한도, 한계도 없다.
   만약에 후천적인 경험, 학습으로 획득 내지 형성되는 것 이라면  얼마나 어렵고, 힘들고, 괴로울까?
 
3. 내 스스로의 [말]을 사용할 뿐 이니 얼마나 단순한 수단이고 두고인가?
   그 이외의 것이 수단이나 도구로 필요하다면 지혜를 발휘하기가 얼마나 어렵겠는가?
 
4. 내 스스로의 말로 [두뇌]만 부리는 것이 지혜의 발휘이니 얼마나 단순하고 쉬운가?
   만약에 그 이외의 것을 사용해야 한다면 그게 단순하고 쉽겠는가?
 
자, 지금 당장에 지혜를 발휘하는 실습을 해 보자.
-. 감각기관을 적정 상태로 유지한태로 "내!" 하고는 -아는, 행하는 등- 모든 일을 멈추시라. 
-. (소승적으로) 이 사람의 삶 운전에 -안전, 건강,  순탄,. 조화등등...- 어떤 문제가 있는가?
 -두뇌에서 "이런 저런 문제가 있다"고 떠 오르면, 그 전말을 자세히 파악하여 두뇌에다 대책을 
  강구한다. 
 - 그런(근본적인) 문제는 아니지만 "이런 저런 문제가 있다"고 떠 오르면, 그런 문제가 
근본적 목적(자기인생에의 파급효과)에 어떤 상관이 있느냐를 문답하여 처리한다.
-(대승적으로) 이 나라에, 국제관계에, 인류사회에, 지구생태계에, 태양계에, 은하계에
 어떤 문제가 있는가, 하고 묻는다.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