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 21

정신의 (지혜)수준 = 아는, 모르는, 모르면서 안다는.

"내, 아는, 것" 이라는 네 글자의 뜻을 아느냐고 물었을때 그 대답을1. 제대로 아는 수준2. 모른다고 아는 수준3. 제대로 모르면서 안다는 수준.4. 전혀 모르는 수준.이상 네 가지로 구별할 수 있겠다.[내]를, 어디에 있는 무엇이 스스로를 자칭하는 이름이라고 알고,'아는'이란 말이, 어떤 일인지 알고,'것'이 어디에 있는 무엇인지 알아야 1(제대로 아는) 이다.이상 세 가지를 알려면, 그 세 가지가 내 앞에 아는 '것'으로 등장해 있어야 한다.그런데 모든 사람이 출생할 당시는 물론이고 일생 동안 한번도 위와 같은 물음을 들었거나,가르침을 받았거나, 스스로 의문을 만들어 본 적이 없이 사는게 아닐는지....그러니 "내가 아는 것"(네 글자의) 뜻이 무엇이냐는 물음에 즉시 제대로 답할 수가없는 것이 보..

카테고리 없음 2025.02.12

불각(不覺) -> 착각(錯覺) -> 자각(自覺).

1). 그 사람(本人)이 스스로 자칭하는 이름을 자기(己)라 하자.타인과 대칭되는 이름이다.2). 그 사람의 정신이 일 하는 주체로서 스스로 칭하는 이름을 내(自)라 하자.내 아닌 객체와 대칭되는 이름이다.3). 그 사람의 두뇌 속에 형성되어 있는 위의 1)과 2)에 관한 의식을 나(我)라 하자.나(1인칭) 아닌 너(2인칭), 그(3인칭)과 대칭되는 이름이다. 위의 1), 2), 3)은 비록 한몸으로 있지만, 엄연히 구별되어 있다.1). 자기에는 2) 내와 2) 나가 포함되지만, 2)와 3)이 아닌 것이 대부분을 차지한다.체중 80kg인 사람의 두뇌(1kg )와 나머지 79kg의 비중과 같다.이하에서는 편의상 1) 자기를 2) 내와 3) 나를 제외한 것으로 보기로 한다.그렇게 보자면 1)은 2)도, 3)..

카테고리 없음 2025.02.11

논리(論理)의 뜻.(두뇌 속 意識)

"논리", "論理"가 무엇인가?그렇게 생긴 두 글자이고, 읽을 줄 알아서 읽으면 나오는 두 마디 소리이다.형식으로는 추호도 틀림이 없는 대답이다."논리(論理)"의 뜻이 무엇인가?국어사전에서 찾아 보라,국어 선생님에게 물어 보라.학식이 있는 사람에게 물어 보라.대체로 그 뜻을 모르는 사람이 "모른다" 하기 싫어서 회피하는 구실이다.필자는 다음과 같은 뜻이라고 하련다.그 단어를 사용하는 사람의 두뇌 속에,"논리(論理)"라 함(名)은,사물의 변화하는 흐름을 관통하는 법칙을 이치(理)라고 언어로 서술해 놓고인과관계를 논(論)하여 증명함(論證)을 논리라 한다는 서술어(識)에,사람의 삶에 필요하고 유익한 사고방법이라는 마음(意)이 연결된것이 논리의식이고, 그것을 약칭하여 논리라 하고, 그걸 연구하여 학문으로 형성해..

카테고리 없음 2025.02.08

올바른 믿음(正信)과 그릇된 믿음(誤信).

이른바 상상이니 가상이니 하는 것은,1), 감각적으로 실재(實在) 여하를 확인할 수 있는 것에 관한 두뇌 속 정보(識)가아니라,2). 실제로 있는지, 없는지를 감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고 두뇌 속에 가정적(假定的)으로만 형성되어 있는 정보(識)이다.예컨대, 휴전선 철책은 실제로 확인 가능하지만, 통일후에 철책이 철거되고 없는가상은 실제로는 확인이 불가능 하다.경험을 바탕으로 한 정보(이하 驗識이라 하자)와 상상만으로 구성된 정보(이하 想識이라 하자)는 두뇌 속 정보(識)라는 점 에서는 전적으로 동질이다.실물 사진이나 인물화를 찍은 사진이나, 사진이란 점에선 같듯이.그렇지만, 아무리 정보라는 점에선 같아도 실재 여하를 확인 가능한 정보와확인 불가능한 정보를 동일시 하는 것은 필요 유익한 경우 아니면 불필요할..

카테고리 없음 2025.02.06

"나"(我)의 뜻(두뇌 속 意識), 그 3차원.

사람들이 '나'라는 소리를 -소위 "말(언어)"이랍시고- 많이 알고, 한다(입으로 낸다)그렇지만, 그 뜻(두뇌 속에 형성되어 있는 意識)이 무엇인지는 모르는 줄도 모른다.아는 줄 알기 때문이다.어떻게(무엇이라고) 알기에 그럴까?'나'(물음)가 '나'(답)이지...", 또는 "나"는 "너"도 "남"도 아닌 "나" 이지... 하는 식으로안다고 아는 상태이니 제대로 아는 것이 아니고,안다고 아니까 모른다고 아는 것도 아니다.이하는 이 사람의 두뇌 속에 형성해 놓은 세 가지 '나'의 뜻 이다.1. 이 사람(本人)의 일부(一部)인 칭자(稱者) 스스로를 칭하는 이름이다.통상적으로 나는 안다고 할 때의 행위하는 주체이다.2. 위의 나(아는 주체)에게 알려지는 객체의 이름이다.나는 ㅇㅇㅇ(성명), 나는 학생(직업, 지..

카테고리 없음 2025.02.05

내가 아는 [것]과 "내가 아는 것"의 구별.

가. 내가 아는 [것]은?,나. "내가 아는 것"은?,위의 둘을 보면, 내면(두뇌 속)에서 어떤 반응이 일어나는가?1), 같은 다섯 글자이니 뜻도 같은 것 아냐?2). 같은 다섯 글자에 [ ]표, " "표를 붙인 것이 무슨 이유에서지?아마도 2)와 같은 의문을 가져 보는 사람은 그리 흔치 않으리라.위의 "가"는 [것]이 무슨 뜻 인지,"나"는 다섯 글자로 된 문장 전체의 뜻이 무엇인지 물음이다.먼저, 위의 다섯 글자를 다음 셋 으로 구별해서 뜻을 정리해 보자.내(아는 행위를 하는 주체),아는(내가 하는 행위)것(내가 하는 행위의 대상인 객체)위의 "가"는 "내가 아는" 이라는 주체와 행위를 젖혀 두고서 [것](대상인객체)만의 정체를 물음이고,위의 "나"는 주체, 행위, 객체를 모두 포함하여 물음이다.다시..

카테고리 없음 2025.02.03

"잘 / 잘못"의 정체를 모르면서 "안다"(맹신)면?

"잘/잘못"은 상대적인 언어, 즉 그걸 사용하는 사람의 두뇌속 마음이 그 정체이다.상대적 언어이니, 반드시 그 것들이 부가된 짝이 두뇌속 정보(識)로 형성되어 있다.고로 "잘 (했다)" 이라는 말이 붙는 일 에는, 그와 상대적인 "잘못(했다)"는 말이 붙는일이 있게 마련이다.그런 말을 사용하는 사람의 정신이, 그 상대적인 정보(識)들을 제대로 모르는경우에도 그렇다. 갑과 을 두 사람이 그중 한 사람의 언동(識)을 놓고,갑이 "잘못(했다)"이라 하는데, 을은 "잘못 아니" 또는 "잘(했다)"이라 하면서다투는 경우가 더러 있다.그럴 때 "왜냐?"고 묻고 "이런 근거로" 라고 답하는 사람이 거의 없더라.그저 "내 말이 맞다(홇다, 당연하다)", "아니다, 내 말이 맞다"거나 또는"네 말은 틀렸다"(그르다, 부..

카테고리 없음 2025.02.03

초인(超人)으로 살기, 쉬울까 어려울까?

초인(超人) : 직역하자면가, "사람(人)을 뛰어 넘음(超)",나, "(보편적인 사람을) 뛰어 넘은(超) 사람 (人)" 이란 뜻 이다.전자(가)의 경우는 사람이었다가 사람이 아닌(소위 신의) 경지를 뜻 하고,후자(나)의 경우는 보통 사람이었다가 극히 희소하게 특출한 사람이 된경지를 뜻 한다.그 어느 뜻 이거나 보통 사람으로선 초인이 되려 하기도, 되기도 쉬운일이아닌 것 같다.과연 그냥 사람이 초인으로 살기는 쉬울까, 어려울까?결론부터 말 하자면 아주 쉬울 수도 있고, 사실상 불가능할 정도로 어려울 수도있다.왜 그럴까?위의 가, 나 어느 뜻 이건, 그런 "초인(超人)"은 실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그런 용어를 사용하는 사람의 두뇌 속에 형성된 "초인의식(超人意識)"일 뿐 이다.1), 이름(名) = 초인(..

카테고리 없음 2025.02.03

실재(實在)와 의식(意識)의 구별.

실제로 있는 그대로를 [실재(實在)]라 하자,.두뇌 속에 형성되어 있는 정보(識)와 그에 부가되어 있는 마음(意) 그대로를"의식(意識)"이라 하자.대부분의 사람들은 위와 같은 구별을 하지 않고 살아 간다.위에서 말 하는 "의식(意識)"만을 알 뿐이면서, 위에서 말 하는 [실재(實在)]를아는 줄 여겨지고 있기 때문이다.위의 둘을 합친 것을 존재(存在)라 한다면,거의 모든 사람이 그 존재중의 "의식"만을 알면서 [존재]를 아는 것 처럼오인에 빠져서 산다.두뇌 바깥에 있는 [존재]는 두뇌 속에 있는 "의식"이 아니다.마찬가지로 두뇌 속에 있는 "의식" 또한 두뇌 바깥에 있는 [존재]가 아니다.사람에게 있어서 아는 일을 하는 기관인 [내] 스스로(自)는 어디에 있을까?만약에 두뇌 바깥에 있다면, 두뇌 속에 있는..

카테고리 없음 2025.02.02

현명한 정신은 고통을 해소하고, 우매한 정신은 고통에 빠진다.

고통은 자기(본인)에게 일어 나 있는 위급상황을 알리는 경보이고 구원요청이다.보내는 자는 자기(생명체의 본성)이고, 받는 자는 그 자기의 정신기관인 [내] 이다. 이상을 제대로 이해하는 현명한 정신이라면 -남의 고통에도 외면하기 어려운데- 자기의고통을 무시, 경시, 외면, 회피하겠는가? 이상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 하는 우매한 정신이라면 고통을 해소하기는 고사하고,제대로 감지하려고나 하겠는가? 그 결과는 어떻게 다르겠는가?현명한 정신은 고통의 원인과 조건을 밝혀서 해소하려 할 것 이고,우매한 정신은 고통이 제 것이라는 오인, 오해, 오판에 빠져서 회피, 도피하려고만발버둥치려 할 것 이다.(그럴 수록 그 수렁에 더 빠져 들고)

카테고리 없음 2025.02.01